마우스 센서 순위 알아보기(feat.다나와)

Posted by 각진세상
2018. 9. 18. 22:28 컴퓨터/주요부품
반응형



항상 마우스 순위를 알아봤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마우스 센서 순위와 센서마다 유명한 마우스들을 알아보겠습니다.




















마우스 센서 순위


 아래의 표는 다나와에서 기본 제공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제가 재수정 했습니다. 게이밍 마우스에 사용되는 센서들이며 아래로 갈수록 일반적으로 성능이 더 좋습니다. 하지만 센서가 좋다고 마우스가 좋은 것은 아니며 마우스의 모양, 무게 등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최적인 제품이 모두 다릅니다. 










대표 게이밍 마우스


 센서마다 대표적으로 유명한 게이밍 마우스들을 알아보겠습니다.

 가장 처음에 표기되어 있는 ADNS-3050은 일반적으로 저가형 게이밍 마우스에 가장 많이 사용 된다고 합니다. 최대 DPI는 2000까지이며 튜닝을 통해 4000DPI로도 수정이 됩니다. 유명하고 많이 사용되는 마우스로 맥스틸 트론 G10이 있습니다. 저도 잠깐 사용을 했었는데 가격대비 나쁘지 않았으나 어딘가 2% 부족했습니다.









 다음 센서는 ADNS-3090으로 튜닝을 통해 최대 8000DPI까지 증가가 가능하며 제가 알아본 제품들은 4000DPI까지만 지원을 하는 것 같습니다. 쿠거 300m, 쿠거 400m 정도가 조금 알려진 제품인 것 같습니다.  스카이디지탈 4k 마우스도 상품의견만 봤을 때는 많이 팔린 제품 같지만 몇몇 평들을 찾아보면 같은 가격대에 다른 제품을 추천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PMW-3320 제품부터 유명한 제조사 및 마우스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가성비 좋다고 평가 받는 센서이며 PMW-3320이 탑재된 제품들 역시 가성비 좋습니다. 대표적으로 로지텍 G402와 로켓 콘퓨어i가 있으며 G402의 경우 그립만 맞는다면 강추하는 제품입니다. 콘퓨어 i는 오울아이와 센서, 소프트웨어만 다르며 그립감, 디자인 등은 다 똑같다고 합니다.
















 PMW-3310은 제가 생각하기에 가성비 매우 좋다고 느끼는데 생각보다 3310을 탑재한 마우스는 별로 없습니다. 그나마 알려진 제품이 쿠거 minos x3인데 3만원은 애매한 가격이라 다른 제품을 알아볼 것 같습니다. 














 PMW-3300 센서는 최대FPS가 DPI를 못따라가는 성능으로 아쉽다는 평을 받고 있긴 하지만 여전히 좋은 센서입니다. 맥스틸 트론 G10의 후속작인 G10PRO에 탑재가 되어있으며 가격대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SDNS-3988 센서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모델은 레이저 데스에더 크로마가 있습니다. 하지만 상위 제품인 데스에더 엘리트와 가격차이가 없는 관계로 구매를 비추합니다.














 대부분의 게이밍 마우스들이 광센서를 사용하는데 ADNS-9800는 레이저 센서를 사용합니다. 센서 자체는 매우 매력적이지만 마우스의 내구성이 좋지 않다는 평이 많습니다. 지금은 판매하고 있지 않지만 매드캣츠 제품들에 사용 됬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어쩌면 가장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고 가장 유명한 마우스들이 사용하는 센서라고 생각합니다. PMW-3360은 손가락 안에 들어가는 스펙을 자랑하는 센서이며 3360을 기반으로 로지텍에서 PMW-3366을 Roccat에서 PMW-3361를 만들었습니다. 스펙적으로는 거의 차이가 없다고 합니다.


 로지텍 제품중에서는 G PRO, G903, G502, G900, G403을 확인 할 수 있으며 가격대 역시 7만원을 넘어갑니다.












 FPS 커뮤니티들을 떠들석하게 만들었고 없어서 구매하지 못했던 벤큐 조위기어 EC2-B, EC1-B 제품들도 동일한 센서를 사용합니다.















 오울i의 팀킬로 예전처럼 엄청난 인기는 아니지만 여전히 많이 사용하고 있는 로켓 콘퓨어 오울아이도 동일한 센서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3개의 회사 모두 7만원~8만원정도의 저렴하지 않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PMW-3389 센서는 레이저와 함께 3360을 튜닝한 제품으로 한 때 독점 사용되는 센서였으나 지금은 독점이 풀려서 다른 회사들도 사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마우스로는 레이저 데스에더 엘리트, 바실리스크를 볼 수 있습니다. 데스에더 엘리트의 경우 손크기F8에게 조금 크긴 했으나 전체적으로 만족스러워서 추천하는 제품중에 하나 입니다.













 마지막은 HERO 센서입니다. HERO의 경우 로지텍에서 자체개발을 했으며 무선 게이밍에 주로 탑재 되고 있습니다. 호불호가 조금 나누어지는 센서이며 배터리 효율이 증가 했다고 합니다. 정발 재고가 없어서 핫딜(?) 형식이 아니면 구매하기 힘든 G PRO HERO와 G304가 HERO 센서를 탑재 했습니다. 






 글쓴이는 마우스 센서에 대해 구체적으로 잘 아는 전문가가 아니며 게이밍 마우스를 입문하는 사용자들을 위해 다나와를 참고하여 작성한 포스팅으로 잘못된 정보가 있으면 댓글을 통해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관련글




반응형

'컴퓨터 > 주요부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i7 8086k 성능?  (0) 2018.06.29
i7 2600 성능?  (0) 2018.06.24
CPU 성능순위 2018년 6월  (0) 2018.06.18
라데온 그래픽카드 순위  (0) 2018.06.03
지포스 940mx 피파온라인4?  (0) 2018.05.26

윈도우10 디펜더 끄기?

Posted by 각진세상
2018. 7. 24. 01:05 컴퓨터/컴퓨터&윈도우10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은 윈도우10 디펜더 끄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윈도우10 디펜더 끄기?


 윈도우10 디펜더가 괜찮은 프로그램이라고 생각을 하는데 저사양 컴퓨터나 따로 사용하는 디펜더가 있다면 굳이 사용 할 필요가 없습니다. 끄는 방법이 아주 단순하지는 않아서 제 포스팅을 참고하여 천천히 따라하면 손쉽게 끌 수 있습니다.

WINDOW + R키를 눌러 실행 화면을 띄우고 

GPEDIT.MSC를 입력하여 확인을 눌러줍니다.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라는 화면이 나타나는데
관리 템플릿 -> Windows 구성 요소 -> Windows Defender 바이러스 백신
순서로 눌러줍니다.








아래로 스크롤을 하면 'Windows Defender 바이러스 백신 사용 안 함' 더블 클릭을 하도록 합니다.










사용 또는 사용 안 함으로 설정을 바꿔주고 적용 -> 확인을 눌러주면 끝입니다.




















관련글


반응형

인터넷이 자꾸 끊겨요? 간단해결 방법

Posted by 각진세상
2018. 7. 8. 01:25 컴퓨터/컴퓨터&윈도우10
반응형



인터넷이 종종 끊기는 경우가 있으면 원인이 다양한데


해결 방법 중 컴퓨터로 하는 것을 알아보겠습니다.























인터넷이 자주 끊겨요?


 인터넷이 끊기는 원인은 다양합니다. 통신문제, 공유기 문제, 모뎀 문제, 컴퓨터 문제 등등 찾는게 쉽지는 않습니다. 많은 방법 중 하나인 컴퓨터 윈도우에서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100퍼센트 해결이 되는 것은 아니며 상황마다 다르기 때문에 한번 시도해보시길 바랍니다.


 윈도우10 기준으로 작성이 되었으며 버전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오른쪽 하단에 컴퓨터 모양을 우클릭하여 '네트워크 및 인터넷 설정 열기'를 눌러줍니다.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 '어댑터 옵션 변경'을 눌러줍니다.












'이더넷 네크워크' 항목을 찾아서 우클릭하여 속성을 눌러줍니다.













 스크롤을 이용하여 아래로 내리면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6'을 확인 할 수 있고 체크를 해제 하도록 합니다.










'윈도우키 + R'을 눌러서 'regedit'을 입력하여 확인을 눌러줍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실행이 되는데

HKEY_LOCAL_MACHINE → SYSTEM CurrentControlSet  services TCPIP6 Parameters 경로를 따라서 폴더를 눌러주고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면 빈공간에 우클릭하여 '새로만들기 DWORD(32비트)'를 클릭합니다.











새로운 항목이 하나 생성 되는데 우클릭하여 '이름 바꾸기'를 눌러줍니다.' 'disabledcomponents'로 변경해줍니다.









 이름까지 변경을 했다면 수정을 눌러줍니다.










 '값 데이터' 항목에서 1을 입력해줍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위 방법을 적용해도 변화가 없었으며 결론은 인터넷 회사의 문제였습니다. 다른 기업 인터넷으로 교체를 하니 더 이상 인터넷이 자꾸 끊기지 않았습니다.







관련글




반응형

윈도우10 지뢰찾기 하는법

Posted by 각진세상
2018. 7. 5. 21:36 컴퓨터/컴퓨터&윈도우10
반응형



윈도우10에서 지뢰찾기를 어떻게 플레이 가능한지 알아보겠습니다.























윈도우10 지뢰찾기


 옛날 윈도우들은 지뢰찾기가 기본적으로 설치가 되어 있어서 손쉽게 플레이가 가능했는데 윈도우10부터 기본 설치가 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가 설치해야 되는 게임이 되었습니다. 기존의 지뢰찾기랑 비교하면 많이 부족한 모습을 보여주지만 아쉬운 대로 플레이는 가능합니다.

 윈도우 키를 눌러서 스크롤을 아래로 내리다 보면 Mircrosoft Store라는 항목을 확인 할 수 있는데 클릭해서 실행 하도록 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 접속하여 우측 상단 검색란에 'Minesweeper' 라고 입력을 하고 ENTER를 눌러줍시다.











 좌측에 있는 게임을 클릭 합니다. XBOX라고 쓰여져 있지만 컴퓨터에서 플레이 가능한 게임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운로드를 누르시면 금방 완료가 되고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예전에 하던 지뢰찾기 같이 직관적인 디자인은 아니지만 저 같은 경우에는 할 수 있다는 점에 만족을 하고 있습니다.











관련글


반응형

i7 8086k 성능?

Posted by 각진세상
2018. 6. 29. 01:34 컴퓨터/주요부품
반응형


i7 8086k는 인텔 응모를 통해 무료로 받을 수 있어 더욱 이름을 알렸는데 


과연 어느정도의 성능인지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i7 8086k?


 i7 8086는 인텔에서 전세계 몇개 국가들에게 기념으로 8086개를 증정하는 이벤트를 통해서 더 많이 알려졌습니다. 응모 방법은 간단했고 국내에는 총 500개의 수량이 배정되었습니다. 저 역시 응모를 했고 자랑을 하자면 당첨이 되었습니다. 10월에 수령 받을 예정인데 받기전에 간단하게 벤치마크 점수 및 다른 CPU들과 비교를 해보겠습니다.









 https://www.cpubenchmark.net/에서 참고한 벤치마크 점수 이며 더 구체적인 정보는 cpubenchmark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기본클럭 4.0ghz, 최대 5.0ghz, 6코어 12쓰레드로 상당히 좋은 CPU로 분류가 됩니다. 오버클럭을 했을 때 성능은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이 되며 오버클럭을 위해서 i7 8086k 온도를 잡으려면 쿨링 시스템에도 상당한 투자를 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카비레이크 라인업인 i7 7700k와 비교를 하면 가격의 차이만큼 성능도 차이가 있습니다. 기본적인 코어 수에서 8086k가 앞서고 있으며 벤치마크 점수는 약 5000점 정도로 격차가 많이 벌어있습니다. 









 비교적 최신 CPU인 i7 8700k와는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오히려 가성비를 생각하면 8700k가 더 앞서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오버클럭 및 터보 스피드에 있어서는 8086k가 더 우세하기 때문에 컴퓨터 벤치마크 점수에 민감하거나 조금이라도 더 고성능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관련글

반응형

'컴퓨터 > 주요부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우스 센서 순위 알아보기(feat.다나와)  (0) 2018.09.18
i7 2600 성능?  (0) 2018.06.24
CPU 성능순위 2018년 6월  (0) 2018.06.18
라데온 그래픽카드 순위  (0) 2018.06.03
지포스 940mx 피파온라인4?  (0) 2018.05.26

i7 2600 성능?

Posted by 각진세상
2018. 6. 24. 09:02 컴퓨터/주요부품
반응형



2세대 CPU로 상당히 옛날 CPU로 


과연 아직까지 쓸만한지 알아보겠습니다.




















i7 2600?


 샌디브릿지는 2011년에 출시 되었으며 약 7년전 CPU입니다. 이 CPU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는 이유는 지인이 컴퓨터가 오래되서 느려졌다고 저에게 문의를 했는데 속도 저하의 주 요인은 SSD를 사용하지 않았고 잡다한 프로그램이 많은 것 입니다. 많은 분들이 오해하는 것 중 하나가 i3 이상의 CPU를 사용하고 있다면 2세대 부터 7세대 까지는 큰 차이가 없다는 것입니다. 
 i7 2600의 스펙은 쿼드코어, 3.4Ghz 기본클럭, 내장그래픽 HD2000, 소비전력 95W입니다. 중고나라에서는 10만원 안쪽으로 구매가 가능하며 (2018년 6월24일 기준) 업체에서 중고를 구매하게 되면 평균가격 13만원 정도 입니다.














i7 2600 성능?


 벤치마크 점수 및 성능 비교는 https://www.cpubenchmark.net/에서 했으며 홈페이지를 통해서 더 자세히 확인이 가능합니다.



i7 2600의 벤치마크 점수는 평균 8200점이라고 합니다. 8200점이 높은건지 낮은건지 감이 안오시는 분들을 위해서 더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가장 최신 CPU인 i5 8400과 i8 8700을 비교한 표 입니다. i7인데도 i5 8400과 3000점 정도 차이가 나며 i7 8700과는 약 두 배 정도 차이가 납니다. 7세대인 카비레이크와 8세대인 커피레이크 사이에는 상당한 성능 차이가 있으며 어찌보면 7년전 CPU임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성능이라고 생각 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성능의 CPU를 찾아보니 라이젠 1400이 있으며 벤치마크 점수상으로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결론은 배틀그라운드, 오버워치 등등 일반적인 게임을 하기에는 충분한 사양의 CPU라고 생각하며 i7 2600을 사용중인데 게임 때문에 컴퓨터를 바꾸거나 느려져서 교체를 원한다면 ssd나 그래픽카드 쪽으로 알아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관련글





반응형

'컴퓨터 > 주요부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우스 센서 순위 알아보기(feat.다나와)  (0) 2018.09.18
i7 8086k 성능?  (0) 2018.06.29
CPU 성능순위 2018년 6월  (0) 2018.06.18
라데온 그래픽카드 순위  (0) 2018.06.03
지포스 940mx 피파온라인4?  (0) 2018.05.26

윈도우10 스티커메모 사용하기?

Posted by 각진세상
2018. 6. 20. 23:35 컴퓨터/컴퓨터&윈도우10
반응형



윈도우10 스티커메모가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을 하는지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윈도우10 스티커메모


 한번도 사용하지 않은 사람은 있어도 한번 사용해본 사람들은 계속해서 활용한다고 생각하는 윈도우10 스티커메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윈도우10 검색하는 공간에서 메모를 입력하면 흔히들 사용하는 메모장 밖에 나타나지 않습니다. 스티커메모라고 입력을 해도 별도로 실행을 할 수 있는 것이 없습니다.










 검색이 되지 않는 이유는 파일이 영문으로 되어 있습니다. 'Sticky Notes' 라고 파일이 있으며 윈도우 화면을 키고 S 항목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자주 사용해서 스티커메모를 우클릭 하고 시작 화면에 고정을 눌러줍니다.













 시작 화면에 고정을 누를 경우 바로바로 사용 가능하게 고정이 되서 편리합니다.














 스티커메모는 컴퓨터 안에서의 포스티잇과 비슷한 존재이며 생성과 삭제가 간단하기 때문에 오늘 할 일, 기억해야 되는 일 등등 간단한 것들을 메모하기에 상당히 편리합니다.
















관련글







반응형

윈도우10 방화벽 해제?

Posted by 각진세상
2018. 6. 18. 23:38 컴퓨터/컴퓨터&윈도우10
반응형



윈도우10을 사용하다 보면 방화벽을 해제해야 되는 경우가 있는데


해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윈도우10 방화벽 해제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윈도우10 방화벽 해제를 권장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게임, 프로그램 등을 사용하다 보면 방화벽을 해제 해야되는 상황이 생기기 때문에 손쉽게 해제 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 실행에서 Control을 입력하는 방법도 있지만 조금 더 익숙한 제어판에서 해제하겠습니다.
제어판을 실행하여 [시스템 및 보안]을 누르도록 합니다.







 시스템 및 보안을 클릭하게 되면 다양한 선택 옵션있는데 우리는 [Windows Defender 방화벽]을 클릭합니다.








 좌측에서 [Windows Defender 방화벽 설정 또는 해제]를 클릭 하도록 합니다.










 설정 사용자 지정까지 접근하게 되면 [개인 네트워크 설정], [공용 네트워크 설정] 에서 방화벽 사용 유무를 지정 할 수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서 두개 모두 또는 하나만 사용 안 함으로 바꿔주면 됩니다.










관련글





반응형

CPU 성능순위 2018년 6월

Posted by 각진세상
2018. 6. 18. 01:18 컴퓨터/주요부품
반응형


인텔과 AMD를 두고 누가 더 좋은지 말이 많은데


6월 CPU 성능순위는 어떤지 알아보겠습니다.
























CPU 성능순위


 CPU 벤치마크와 더 많은 정보는 https://www.cpubenchmark.net/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벤치마크 점수상으로 가장 높은 CPU는 인텔 XEON PLATINUM 8173M이 28,860으로 1등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밑으로는 i9-7980x, i97960x 등등 일반 소비자들이 구매하기에는 다소 부담스러운 CPU이며 서버용 컴퓨터에서 대체로 많이 사용이 됩니다. 












 국내 소비자들이 종종 구매하는 제품인 라이젠 2700x를 볼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40만원 안쪽으로 구매가 가능하며 게임 때문에 인텔을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면 인코딩이나 다중작업을 위해서는 최고의 성능을 보여준다고 생각합니다.













 뚜따를 많이 하는 i7 8700k가 벤치마크 16,000점 정도를 보여주며 수율 좋은 제품들은 훨씬 더 높은 성능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그 밑으로는 라이젠 1800x, 2700, 1700x, 2600x 등을 볼 수 있습니다. 












 벤치마크 점수 13,000이하 부터는 배틀그라운드 및 하이앤드 게임용으로 많이들 구매하는 CPU를 볼 수 있습니다. 

















관련글




반응형

'컴퓨터 > 주요부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i7 8086k 성능?  (0) 2018.06.29
i7 2600 성능?  (0) 2018.06.24
라데온 그래픽카드 순위  (0) 2018.06.03
지포스 940mx 피파온라인4?  (0) 2018.05.26
i5 3570 배틀그라운드?  (0) 2018.05.23

윈도우10 디스크공간부족 해결법

Posted by 각진세상
2018. 6. 14. 00:32 컴퓨터/컴퓨터&윈도우10
반응형


윈도우10 디스크공간부족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는데


간단하게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윈도우10 디스크공간부족?


 컴퓨터에 설치 되어 있는윈도우10의 보안과 편의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하는데 이번 업데이트 이후로 계속해서 디스크공간부족이라는 알림이 뜹니다. 처음에는 별로 신경 안쓰고 무시했었으나 지속적으로 알림이 뜨기 때문에 해결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알림이 뜰때 어떤 디스크인지 알 수 있지만 더 구체적으로 알기 위해 내 PC에서 확인 했습니다. 기존에 사용했던 C드라이브와 E드라이브를 제외하고 약 450MB의 로컬 디스크D가 새로 생겼습니다. 컴퓨터마다 디스크의 이름은 다르며 꼭 자신의 디스크 이름을 확인하도록 합니다.










 삭제를 하기 위해서 왼쪽 하단의 돋보기를 누르고 DISKPART를 입력하고 눌러주도록 합니다.











 DISKPART를 입력하고 나면 시커먼 화면이 생성되는데 list volume을 입력하고 enter를 눌러주도록 합니다.











 list volume을 했다면 디스크공간부족이라고 알림이 떴던 디스크를 확인해줍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1번이며 다시 sel volume1을 입력하고 enter를 눌러주도록 합니다. 










 볼륨을 선택했으니 삭제를 위해서 remove letter=D를 입력하도록 합니다. 여기서 주의해야되는 부분이 volume1의 디스크 알파벳을 입력해야됩니다. 즉 PC에 따라서 E, D, C, F 등이 될 수 있습니다.











remove letter 까지 완료하고 나면 더 이상 디스크공간부족이라는 알람을 받지 않게 됩니다.









관련글









반응형